[컬럼] 등나무 씨앗은 아름답습니다
- 명순구
- 2001년 1월 31일
- 2분 분량
등나무 씨앗은 아름답습니다 명순구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작년 늦가을, 몇 몇 제자들과 식사를 함께한 후 학교 학생회관 앞 광장(일명 '로데오거리'라 하든가?)에서 커피를 마시고 있는데, 발 밑에 납작한 콩 같이 생긴 무슨 씨앗이 수북하게 떨어져 있었습니다. 그것이 무슨 식물의 씨앗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씨앗이 떨어져 있는 주위를 살펴보았습니다. 등나무가 모든 잎을 떨어뜨리고 겨울을 준비하고 있는 곳에 우리가 서 있었습니다. 등나무의 씨앗이었습니다. 같이 있던 제자들과 함께 "아! 등나무 씨앗이 이렇게 생겼구나"하면서 신기해 했습니다. 어떤 제자는 무슨 맛인지 알아보려고 그 씨앗을 까서 입에 대보는 호기심까지 발휘하였습니다. 같이 있던 사람들과 함께 수 개의 씨앗을 주워 그 때 입고 있던 버버리 주머니에 넣었습니다. 주머니에 생명의 핵이 있는 것도 모른 채 상당한 시간이 지났습니다. 옷을 갈아 입을 시점에 와서야 주머니에 씨앗이 있는 것을 인식하고 그 날 연구실에 도착하자마자 그 씨앗을 책상 한 구석에 놓아두었습니다. 씨앗의 수는 여섯이었습니다. 씨앗으로서는 그나마 처음으로 빛을 본 셈이지요. 책상 한편에 씨앗이 있다는 것에 대하여 나는 또 무심했습니다. 이렇게 무심하게 또 상당한 시간이 지났습니다. 그런데 어느날 우연히 그 씨앗에 눈길을 맞추어 보니 여섯이었던 씨앗의 수가 네 개로 줄어 있었습니다. 약간 이상하게 생각했습니다. 연구실 조교에게 씨앗 두 개가 없어졌다는 사실을 말했습니다. 학생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비어있는 화분에 씨앗 두 알을 심었습니다." 본래 그 화분은 난화분으로서 난이 사망한 후 주인공 없는 화분으로 있는 상태였습니다. 주인공 없는 화분에 새 주인공을 설정해 주려는 마음, 씨앗은 책상 위에 있는 것보다는 흙 속에 있는 것이 마땅하다는 생각... 그런데 문제가 있었습니다. 난화분은 흙이 아니라 나무껍질과 돌로 채워져 있었기 때문에 씨앗이 싹을 내기에 부적절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하여 흙을 사다가 화분을 다시 정리하고, 그 참에 나머지 네 개의 씨앗도 같이 심어 여섯 개 모두 흙 속에서 살게 되었습니다. 흙을 사면서 화원 주인에게 등나무 씨앗을 화분에 심으면 등나무가 나오겠느냐고 물었더니 아마 나올 것이라고 하더군요. 그 사람의 대답이 시원한 것이 아니어서 싹이 나올 것인가에 대하여 확신이 없었습니다. 씨앗을 심은 사실에 대하여 또 무심한 채 시간이 흘렀습니다. 그런데 설 연휴를 마치고 연구실에 와서 보니 그간 작기는 하나 뜨거운 혁명이 일어났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연초록의 싹 두 개가 빼꼼히 고개를 내민 것입니다. 모두 여섯 개 중에서 두 개가 먼저 싹을 낸 것이지요. 아마 화분을 정리하기 전 조교학생이 꽂아 두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가슴이 뛰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보고 싶어졌습니다. 이 싱싱한 생명의 소식을 전하고 싶었습니다. 그러나 한 사람에게만 전화를 했습니다. 나의 아내였습니다. 모든 사람에게 전화를 하여 이 사실을 설명하기에는 너무 많은 시간이 걸릴 것이고, 또 어떤 사람은 실없는 사람이라고 생각할 것 같기도 하고... 무심한 시간 속에서도 남몰래 생명으로서의 의무를 정확히 수행한 등나무 씨앗이 아름답습니다. 생명의 신비로움을 찬미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이제는 싹을 의심하지 않습니다. 나머지 네 개도 분명히 머지 않아 싹을 보여줄 것이라는 확신이 생겼습니다. 화원 주인에게도 이 사실을 알려야 할 것 같습니다. 화분에서도 등나무 씨가 싹을 낸다는 사실 말입니다. [2001. 1.]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고려대학교 역사가 녹아있는 두 나무 명 순 구 고려대학교의 교목(校木)은 잣나무이다. 1968년 6월 3일자 고대신문(3면)은, 잣나무가 재단이사회와 교무위원회(5월 19일)를 거쳐 교목으로 선정되었음을 보도하고 있다. 그리고 교목으로 지정된...
고려대학교 교호 “입실렌티”의 유래와 의미 “입실렌티 체이홉 카시코시 코시코 칼마시 케시케시 고려대학 칼마시 케시케시 고려대학” “교호”라는 명칭으로 고대인들이 대체로 교가 제창 후에 외치는 문구이다. 그냥 봐서는 무슨 말인지 알 수가 없다....
고려대학교 개교기념일에 관한 상상 명순구 보성전문이 1905년 박동에서 개교한 시기는 4월 3일이다. 이는 당시의 신문 보도 등의 사료로 보건대 명확하다. 그렇다면 고려대학교 개교기념일은 4월 3일이어야 할 것인데, 현재 고려대학교는 5월 5일을...
Comment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