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100주년 프랑스민법전 200주년 기념 국제학술회의

  • Dres
  • 2005년 11월 23일
  • 2분 분량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100주년 프랑스민법전 200주년 기념 국제학술회의 (Colloque International du Centenaire de la Faculté de Droit de la Korea University et du Bicentenaire du Code Civil)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세계화지향의 사법: 그 배경과 한국과 프랑스의 적응󰡕 󰡔Droits privés en cours de globalisation : perspectives coréano-françaises󰡕 󰁵 주최: 고려대학교 법과대학·법학연구원·비교법연구센터 󰁵 후원: 대한민국법무부, 프랑스법무부 󰁵 협찬: 주한프랑스대사관, 법무법인 태평양 󰁵 장소: 고려대학교 4·18기념관 대강당 󰁵 일시: 2005년 12월 3일 토요일 10:00~18:00 _______________ 초대의 글 꽃들이 흐드러지던 따스했던 어느 봄날 그 꽃들이 스러질 것을 아쉬워한 적이 있습니다. 그러나 그 후로도 세상은 모양과 색깔을 바꿔가며 제 몫을 하였고 그 바람에 우리는 늘 꿈을 품을 수 있었습니다. 시간은 그렇게 역사를 만들어 냅니다. 2005년은 고려대학교 법과대학이 설립된 지 꼭 100년이 되는 해입니다.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100년은 한국 근대법학교육 100년이라는 의미도 함께 가지고 있습니다. 한편, 2004년은 프랑스민법전이 공표된 지 200년이 되는 해였습니다. 우리의 민법이 서양의 근대법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프랑스민법전은 사법의 발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분수령입니다. 이와 같은 인식 아래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100주년과 프랑스민법전 200주년을 함께 기념하는 국제학술대회를 준비하였습니다. 󰡔세계화지향의 사법: 그 배경과 한국과 프랑스의 적응󰡕(Droits privés en cours de globalisation : perspectives coréano-françaises)이라는 대주제 아래 프랑스와 한국에서 각각 네 명의 사법학자가 초청되었고, 이들을 위하여 네 개의 개별주제가 설정되어 있습니다. 각 개별주제에 대하여 한국과 프랑스의 학자가 공동으로 발표하도록 기획되어 있습니다. 이 학술회의는 학술적 가치뿐만 아니라 앞으로 한국과 프랑스의 학술교류가 보다 활발히 이루어지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여러 가지로 분주하신 줄 아오나 부디 참석하시어 자리를 빛내주시면 저희들에게 큰 기쁨이 될 것입니다. 2005년 11월 18일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비교법연구센터 소장 명순구 드림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프 로 그 램 ◙ 등 록 09H30~10H00 ◙ 개회식 10H00~10H40 ● 환 영 사 : 채 이 식 학장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 축 사 : Philippe Thiebaud 대사 (주한프랑스대사관) ● 축 사 : 어 윤 대 총장 (고려대학교) ● 축 사 : 천 정 배 장관 (대한민국 법무부) ● 축하메시지: Pascal Clément 장관 (프랑스 법무부) ● 경과 보고 : 명 순 구 교수 (고려대학교 비교법연구센터 소장) ◙ 제1분야 발표: 사법 세계화의 배경으로서의 국제적 교류 [10H50~12H45] ● 10H50~11H15 ① 󰡔프랑스와 독일의 교류: 무관심과 수렴의 사이󰡕 Gwendoline Lardeux 교수 (Aix Marseille III 대학교 법과대학) ● 11H20~11H45 ② 󰡔한국과 프랑스간의 민사법교류사󰡕 김 욱 곤 교수 (성균관대학교 명예교수) ● 11H50~12H15 ③ 󰡔프랑스와 앵글로-아메리카의 교류: 공격적 또는 우호적 교류󰡕 Ruth Sefton-Green 교수 (Paris I 대학교 법과대학) ● 12H20~12H45 ④ 󰡔법적 담론 전개 양식의 차이: 성문법 국가와 판례법 국가의 비교󰡕 김 기 창 교수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 중 식 [12H45~14H15] ◙ 제2분야 발표: 사법의 세계화와 한국과 프랑스의 적응 [14H15~16H25] ● 14H15~14H40 ① 프랑스의 계약외책임: 󰡔프랑스민법전과 민사책임법의 변천󰡕 Dimitri Houtcieff 교수 (Evry Val d'Essonne 대학교 법과대학) ● 14H45~15H10 ② 한국의 계약외책임: 󰡔한국에서의 불법행위법의 전개: 그 경향과 특성󰡕 양 창 수 교수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 Coffee Break — ● 15H30~15H55 ③ 채무불이행에 대한 제재: 󰡔계약불이행에 대한 제재의 변화: 민법전으로부터 그리고 민법전을 넘어서 전망함󰡕 Yves-Marie Serinet 교수 (Cergy-Pontoise 대학교 법과대학) ● 16H00~16H25 ④ 채무불이행에 대한 제재: 󰡔채무불이행규범의 일원화를 위한 기초󰡕 명 순 구 교수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 토 론 [16H30~18H00] ▮ 사회: 김 욱 곤 교수 (성균관대학교 명예교수) ▮ 통역: 박 수 곤 교수 (경희대학교 법과대학) 남 궁 술 박사 (한국외국어대학교 강사) ● 16H30~17H15 발표자상호토론 ● 17H15~18H00 자유토론 ◙ 만 찬 [18H00~20H00] <프로그램은 사정에 따라 약간 변경될 수 있습니다>


Comments


skmyoung@korea.ac.kr

145 Anam-ro, Sungbuk-gu, Seoul, 02841, Korea

Copyright Ⓒ 2016 Professor Soonkoo Myoung of Korea University School of Law.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